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출산 직후 정신없는 시기지만, 이때 신청하는 지원금은 대부분 신청 기간 제한이 있으며 금액도 상당합니다. 2025년 기준, 놓치지 말아야 할 핵심 5가지를 정리했습니다.
     

    출산전후정부지원금
    출산전후정부지원금신청

    출산축하금 (지자체)

    지원대상출산한 모든 가정 (거주지 기준)
    지급액첫째 100만 원, 둘째 300만 원, 셋째 이상 500만 원 (지자체별 상이) 
    신청방법주민센터 방문 또는 지자체 온라인 신청
    지급시기출생신고 후 1~3개월 내

    TIP: 거주지 지자체(시·군·구) 홈페이지나 복지로 웹사이트에서 '출산축하금' 정보를 확인하세요.


    국민행복카드 바우처 (임신·출산 진료비)

    지원대상임신 확인 후~출산 후 1년간 대상자
    지원금액단태아 100만 원, 다태아 140만 원 
    사용처산부인과, 조리원, 약국, 유축기 등
    신청방법복지로 홈페이지 또는 카드사 긴급 바우처 등록 

    바우처는 카드 발급 이후 반드시 등록해야 사용 가능합니다.
     


    첫 만남이용권 (출산 바우처)

    지원대상2022년 이후 출생 아동
    지원금액200만 원 바우처 
    사용처유아용품점, 장난감, 교과서 등
    신청방법출생신고 후 정부24 또는 주민센터 신청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서비스 (산후도우미)

    지원대상중위소득 150% 이하 가정
    파견 기간5~25일, 가구 상황에 따라 차등 지원
    신청방법복지로 또는 관할 보건소

    👶산전 40일~출산 후 30일 이내 신청해야 하며, 긴급 지원도 가능해요.


    아동수당 (자동 신청)

    지원대상만 8세 미만(95개월 이하) 아동
    금액월 10만 원
    신청방법출생신고 시 자동 신청됨
    지급일매월 25일 (소급 신청 가능)

    ✔️ 별도 신청 없이 자동으로 신청되지만, 지급 상태는 반드시 확인하세요.


    추가로 챙기면 좋은 지원금

    가정양육수당어린이집 미이용 시 월 10~20만 원 현금지원
    영아수당0~1세 아동 대상 월 30만 원 현금지원 (2025년 확대 예정) 
    기저귀·조제분유 바우처저소득층 대상 기저귀·분유 구입비 지원

    마찬가지로 별도 신청이 필요하니 복지로나 지자체 공고를 수시로 확인하세요.
     
    영아 수당과 아동수당의 차이 알아보려면 아래 클릭 하세요 
     


    마무리하며

    출산 직후 ‘신청 기한’을 놓치면 지원금을 받을 수 없게 됩니다. “출생신고 → 국민행복카드 발급·바우처 등록 → 산후도우미 신청 → 지자체 출산축하금 신청” 순으로 꼭 챙기시면 알찬 시작이 될 수 있습니다.


    반응형